Ferroptosis

apoptosis, autophagy 및 necrosis의 독립성과 연관성

unicircle 2021. 11. 7. 23:19

The independence of and associations among apoptosis, autophagy, and necrosis 

2018

https://www.nature.com/articles/s41392-018-0018-5

 

The independence of and associations among apoptosis, autophagy, and necrosis - 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

New understandings of the interconnectivity of cell death pathways could provide novel therapeutic targets for cancer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like Alzheimer’s. Caiyun Fu of China’s Zhejiang Sci-Tech University and colleagues reviewed the latest

www.nature.com

다양한 유형의 세포 사멸 중 생존 우월성

 

세포 사멸의 메커니즘. 

 

외인성 경로에서 FASL, TNF-α 또는 TRAIL이 해당 수용체에 결합하면 자가가수분해를 통해 프로카스파제-8을 카스파제-8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유형 I 세포에서 활성화된 caspase-8은 caspase-3를 활성화한 다음 세포자멸사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유형 II 세포에서 활성화된 caspase-8은 Bid를 tBid로 가수분해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tBid는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한 Bax/Bak과 상호작용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합니다. 

고유 세포 사멸 경로에서 DNA 손상, 성장 인자 철수, 산화 스트레스 또는 독성 손상은 일반적으로 Bcl-2 계열 구성원에 의해 제어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항상성을 파괴할 수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을 증가시켜 시토크롬 c 방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미토콘드리아의 막간 공간에서 방출된 시토크롬 c는 Apaf-1 및 caspase-9와 상호작용하여 caspase-3를 활성화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자멸사 경로에서 칼슘 항상성의 교란과 소포체에 원치 않는 단백질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caspase-12가 매개하는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며, 여기서 활성화된 caspase-12는 ER에서 세포질로 전위되어 caspase를 직접 절단합니다. -9를 누른 다음 caspase-3을 활성화합니다.

 

 

 

자가 포식의 메커니즘. 

 

자가포식의 기전은

개시, 핵형성, 팽창과 폐쇄, 융합과 분해(initiation, nucleation, expansion and closure)의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포유류에서 ULK1/2 복합체의 조립은 식세포 조립 부위의 형성에 필요한 반면 ULK1/2 복합체는 mTORC1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PI3K/AKT에 의해 양성으로 조절되고 AMPK에 의해 음성적으로 조절됩니다. 

성장 인자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RTK)를 통해 PI3K/Akt 경로를 활성화합니다. 

일반적으로 Bcl-2에 의해 억제되는 Beclin1 복합체가 활성화되어 분리막을 핵형성으로 유도하고, 막횡단 단백질 Atg9 및 소포막 단백질 VMP1이 지질을 분리막으로 수송하는 데 관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두 개의 유비퀴틴 유사 단백질 접합 시스템(Atg12 및 LC3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necroptosis 메커니즘. 

 

TNFR 신호전달에서 TRADD, RIPK1, TRAF2, E3 유비퀴틴 리가제, cIAP1/2 및 LUBAC를 포함하는 복합체 I은 RIP1K가 CYLD에 의해 탈유비퀴틴화될 때 불안정하여 높은 수준의 RIPK3 및 MLKL과 함께 괴사체가 형성됩니다.

억제된 카스파제-8. 이어서, necrosome의 RIPK3이 올리고머화 및 인산화되어 MLKL의 동원 및 인산화를 유도하고, 인산화된 MLKL이 원형질막으로 전위되어 막 손상 및 괴사를 일으키거나, 인산화된 MLKL이 미토콘드리아 막 상의 인산화효소 PGAM5와 상호작용하여 미토콘드리아를 활성화시킨다.

분열 인자 Drp1은 괴사를 유도합니다. 

Fas/TRAILR 신호전달에서 cIAP가 없고 caspase-8이 억제되면 Fas/TRAILR의 활성화가 괴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TLR3/4 시그널링에서, 그들의 활성화는 zVAD-fmk,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한 TLR4 활성화 또는 폴리이노신-폴리시티딜산에 의한 TLR3 활성화의 존재 하에서 TRIF 매개 괴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DAI 신호 전달에서 바이러스 이중 가닥 DNA에 대한 반응으로 DAI는 특정 조건에서 RIPK3 의존성 괴사도 중재합니다.

 

 

 

 

세 가지 유형의 세포 사멸 간의 관계. 

 

FLIP은 caspase-8과 상호작용하고, RIPK1의 기능을 방해하고, Atg3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Atg3와 LC3를 결합함으로써 세포 사멸 모드를 조절합니다. 

세포사멸의 핵심인자인 Caspase-8은 RIPK1과 RIPK3을 가수분해하여 괴사를 억제한다. 

세포 내 ATP 수준은 세포 사멸과 괴사 사이의 세포 운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높은 수준의 세포 내 ATP는 종종 세포 사멸을 선호하는 반면, 낮은 수준의 세포 내 ATP는 종종 괴사를 선호합니다

Autophagosome 형성에 필요한 핵심 분자인 Beclin1은 항세포사멸 단백질인 Bcl-2 또는 Bcl-XL과 결합하여 여러 caspase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것과 같은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autophagy와 apoptosis 사이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 mTOR는 세포 내 ATP 수준을 감지하고 세포 내 ATP 수준이 낮을 때 autophagy의 억제를 완화하여 괴사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성장 인자에 의해 활성화되면 AKT는 mTOR 신호 전달을 유도하여 자가포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AKT의 활성화는 Bad 및 caspase-9와 같은 세포 사멸 인자를 인산화하여 세포 사멸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