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부티레이트

unicircle 2021. 7. 23. 16:53

https://cancerandmetabolism.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40170-017-0166-z

자발적인 마우스 유선 종양의 성장, 대사 및 전체 히스톤 H3 아세틸화에 대한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작용: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역설의 증거

배경

케톤체는 암에서 대사 및 후성 유전적 역할을 모두 수행합니다. 

여러 연구에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의 억제를 통한 항암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더 빠른 종양 성장을 관찰했습니다. 

관련 분자인 부티레이트는 또한 일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다른 암세포의 성장을 가속화합니다. 

이 "부티레이트 역설"은 부티레이트가 히스톤 아세틸화를 매개하여 포도당을 우선적으로 이용하는 암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Warburg 효과). 

부티레이트를 연료로 산화시키는 세포에서는 억제 농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성장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행동 양식

우리는 케톤체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β-OHB)로 자발적인 MMTV-NEU-NT 유방 종양이 있는 형질전환 마우스를 치료하고 종양 성장, 대사 산물 농도 및 히스톤 아세틸화를 모니터링했습니다. 이 종양에서 파생된 세포주에서 우리는 β-OHB의 부재와 존재 하에서 β-OHB와 포도당의 흡수와 젖산 생산도 측정했습니다.

결과

β-OHB 투여는 MMTV-NEU-NT 종양의 성장을 가속화했으며, 이들의 대사 프로필은 ATP, 글루타민, 세린 및 콜린 관련 대사산물의 상당한 증가를 보여주었습니다. 처리된 종양 내의 β-OHB 농도, 0.46 ± 0.05 μmol/g은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히스톤 아세틸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0.5mM β-OHB와 함께 배양된 배양된 종양 세포는 해당 ATP 인산화의 54%에 해당하는 β-OHB 흡수를 나타내었고 포도당 소비 또는 젖산 생산에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β-OHB 역설이 부티레이트 역설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러한 유방 종양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낮은 β-OHB 농도(치료 후 종양 모델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1mM 미만) 및 Warburg 효과가 없는 경우 β-OHB는 소모되어 후성 유전 인자가 아닌 산화 에너지원으로 작용합니다 . 이것은 치료 후 종양 성장의 증가, 대사 프로파일 및 히스톤 H3 아세틸화에 대한 영향의 부재를 설명합니다.

--------------------------------------------------------------------------------------------------------------------

 

 

부티레이트의 효과는 세포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암 치료에 사용되는 부티레이트의 장점은 암세포에는 독성 효과가 있지만 비암 세포에는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암세포의 바르부르크 효과에 의해 다양한 효과가 설명되었습니다. 즉, 암세포에서 포도당 이용이 증가합니다(그림 9)[46,184-186]. 결장세포에서 부티레이트가 산화되어 ATP를 생성합니다. 암세포에서 butyrate는 Warburg 효과로 인해 대사될 수 없으므로 축적되어 핵으로 들어가 HDAC를 억제합니다[26]. 결장직장암 세포에서 부티레이트는 부티레이트의 산화를 촉매하는 단쇄 아실-CoA 탈수소효소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87,188].

부티레이트의 효과도 용량 의존적입니다. 낮은 농도(0.5-1mM)에서 butyrate는 비암성 결장세포 증식을 촉진하지만 암성 결장세포 사멸을 촉진합니다[184].
고농도(2mM 이상)에서 부티레이트는 비암성 결장세포와 암성 결장세포 세포자멸사를 모두 유발할 수 있습니다[189].

부티레이트 매개 신호 전달 억제는 암세포 증식을 감소시키고 암세포의 세포 사멸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킵니다. 부티레이트는 호중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고 다양한 조직에서 모집, 작용기 기능 및 생존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 PD-L1/항 PD1 암 면역 요법에서 미생물군의 역할을 중재할 수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총이 항-PD-L1/항-PD1 요법에 대한 치료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덜 풍부하고 다양한 장내 세균 프로필을 발현하는 마우스는 면역 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반응이 좋은 환자의 미생물군집을 이식한 후 반응이 향상되었지만 반응이 좋지 않은 환자의 반응은 그렇지 않았습니다[19].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2911985_Effects_of_Intestinal_Microbial-Elaborated_Butyrate_on_Oncogenic_Signaling_Pathways

부티레이트는 독소루비신 및 아드리아마이신과 같은 기존의 화학요법제와 조합하여 암세포주에서 연구되었습니다. 

Butyrate는 doxorubicin의 효과를 증가시켰다[37]. 

Butyrate는 자궁암 세포에서 인간 텔로머라제 역전사효소(hTERT)를 하향 조절함으로써 아드리아마이신 세포독성을 증가시켰습니다[38]. 

유잉 육종 세포에서 부티레이트는 독소루비신 및 에토포사이드와 함께 상승 효과를 생성했습니다[39].

Butyrate Is a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

HDAC는 전사 후 수준에서 유전자의 중요한 조절자이며 많은 암에서 변경됩니다[41,42]. 

HDAC의 증가된 발현은 유전자 전사 기계인 염색질의 주요 성분인 히스톤의 아세틸화를 감소시킵니다. 

아세틸화되면 조절 유전자가 전사되어 발암을 억제한다고 생각된다[41].

HDAC의 억제는 히스톤 아세틸화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암 치료를 위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습니다[41-Butyrate의 항암 효과에 대한 기전은 anti-HDAC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Butyrate가 세포질에서 대사되는 대장세포와 달리 암세포에서는 Warburg 효과로 인해 butyrate가 대사되지 않아 축적되어 히스톤 탈아세틸화를 억제하는 핵 공간으로 들어간다[26].

소듐 부티레이트로 세포를 처리하면 탈아세틸화효소를 억제하여 히스톤 아세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45].

Butyrate는 정상 결장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과 대조적으로 암세포 증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6].

이러한 후성유전학적 변형은 세포 생존 및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수많은 효소를 조절하는 히스톤의 과아세틸화를 유발합니다.

Mitochondrial Apoptotic Pathway Altered by Butyrate

내부 및 외부 경로 모두 세포 아폽토시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유 경로는 p53에 의해 시작되는 미토콘드리아 경로라고도 합니다[78]. 종양 억제 인자인 종양 단백질 p53은 세포 주기, 세포 사멸 및 DNA 복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G1 및 G2 체크포인트를 제어합니다[78]. UV 및 독소와 같은 환경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p53이 증가하여 DNA 복구를 촉진하거나 DNA 손상이 복구하기에 너무 심하면 세포 사멸을 유발합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p53은 Bax와 같은 pro-apoptotic protein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Bcl-2와 같은 anti-apoptotic protein의 활성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인 항 세포 사멸 단백질에는 Bcl-2, Bcl-xl 및 Mcl-1이 포함됩니다

 

골육종 세포에 부티르산 나트륨을 첨가하면 세포 사멸이 증가하고 세포 증식이 감소하여 p53의 증가와 MDM2의 감소를 통해 Bax가 증가하고 Bcl-2가 감소합니다

 

Bax/Bcl-2 비율 증가, 사이토크롬 c 방출 및 카스파제 3 활성화로 표시되는 미토콘드리아 세포자멸경로 활성화를 유발했습니다

Butyrate-Induced Extrinsic Cell Death Pathway

부티레이트는 세포 사멸 경로의 FasL/Fas 및 TNF-알파/TRAIL 시스템 모두에 작용하여 사멸 수용체, FADD 및 카스파제 8을 포함하는 DISC의 형성을 유발하여 카스파제 3 활성화 및 세포자멸사를 유도합니다.

Butyrate Receptors GPR41, GPR43 and GRP109a Signaling Pathways

 

부티레이트는 수용체 매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SCFA에 결합하는 3개의 수용체, 즉 GPR41, GPR43 및 GPR109a가 있습니다[101-105]. 

이 수용체는 세포 표면에 위치합니다. 활성화되면 발암성 신호 전달 경로가 억제됩니다.

부티레이트는 암세포 표면의 수용체 GPR41, GPR43 및 GPR109a 및 이와 관련된 다중 신호 변화에 대한 결합을 통해 암 세포 주기를 정지시키고 세포자멸사를 유발합니다.

Effect of Butyrate on Wnt Signaling Pathway

Wnt 신호 전달 경로는 많은 암과 관련이 있습니다[109-112]. 이것은 Fzd/LRPS5/6/Dvl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단백질 Wnt가 그것의 수용체 Fzd에 결합함으로써 개시됩니다. 이어서 GSK-3베타가 인산화되어 GSK-3베타에 의한 베타 카테닌 분해가 감소합니다. 축적된 베타 카테닌은 표적 유전자와 상호 작용합니다. p300과 결합할 때 세포 분화/아폽토시스 및 CBP와 결합할 때 세포 증식의 두 가지 결과가 확인되었습니다.

Butyrate-Promoted Cell Differentiation through Protein Kinase C Pathway

PKC(Protein kinase C)는 여러 개의 isoform을 발현하는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로, 증식과 분화와 같은 세포 기능을 매개하는 다양한 세포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0-123]. 

낮은 분화도는 암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KC는 현재 일반적으로 암 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종양 억제제로 간주됩니다[

부티레이트와 2차 담즙산 우르소데옥시콜산(UDCA)이 PKC 및 MAPK 경로의 차등적 활성화를 통해 인간 결장 선종 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1mM 농도에서 NaB는 PKC 및 JNK 의존적인 암세포 분화를 유도했습니다.

더 높은 농도(5mM, 10mM)에서 부티레이트는 결장암 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했습니다.

유잉 육종 세포주를 부티레이트로 치료하면 분화 뉴런 마커βIII-튜불린도 증가했습니다[137].

따라서 PKC 매개 암 세포 분화는 butyrate의 항암 효과에 대한 또 다른 메커니즘이 될 수 있습니다.

Butyrate-Mediated Anti-Inflammatory Effect

Butyrate는 NF-κB 활성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대장암 세포에서 Peroxisome-Proliferator-Activated-Receptor gamma(PPARγ)와 비타민 D 수용체(VDR)의 활성과 발현을 조절합니다[146]. 

이 연구는 핵 호르몬 수용체(PPARγ)와 비타민 D 수용체(VDR) 모두 유도성 NF-κB 활성화의 inbutyrate 매개 억제에 관여한다고 제안했습니다[146]. 

부티레이트 활성화 T-reg 세포는 또한 IL-6 및 IL-6 생성을 억제하여 다운스트림 신호 전달 경로를 감소시킵니다

Effects of Butyrate on MicroRNAs

발암성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MiR은 온코미르(oncomir)라고 하고, 발암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은 항-종양유전자(anti-oncomirs)라고 합니다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A549에서 부티레이트에 의해 변경된 miR을 연구한 결과 33개의 miR이 상향 조절되고 22개의 miR이 하향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utyrate and Methylation

발암 유전자의 저메틸화는 일반적이며, 이는 이들 유전자 및 관련 발암 신호 경로의 과발현을 초래합니다. [172]. 

종양 억제 유전자의 과메틸화는 또한 발암성 신호 전달 경로의 음성 조절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73,174]. 

종양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인자의 메틸화 상태 조절은 치료적으로 중요합니다[172,175]. 

부티레이트는 종양유전자의 메틸화를 증가시키고 발암성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A Summary of Butyrate on Multiple Signaling Pathways

—Blocking Feed-forward Regulation

암의 신호 전달 경로는 매우 복잡합니다. 그것들은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지만 누화(crosstalk)가 광범위하므로 여러 신호 경로의 활성화가 서로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별적으로 검사할 때 신호 경로의 더 높은 활성화로 이어집니다.부티레이트는 이러한 피드포워드 효과의 차단을 촉진하는 여러 신호 경로에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항암 사용에 있어 부티레이트의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Implications 시사점

부티레이트의 효과는 세포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암 치료에 사용되는 부티레이트의 장점은 암세포에는 독성 효과가 있지만 비암 세포에는 이롭다는 것입니다. 

암 세포의 바르부르크 효과에 의해 다른 효과가 설명되었습니다. 

즉, 포도당 이용이 암세포에서 증가합니다(그림 9)[46,184-186]. 

결장세포에서 부티레이트가 산화되어 ATP를 생성합니다. 암 세포인 butyrate는 Warburg 효과로 인해 대사될 수 없으므로 축적되어 핵으로 들어가 HDAC를 억제합니다[26]. 

결장직장암 세포에서 부티레이트는 부티레이트의 산화를 촉매하는 단쇄 아실-CoA 탈수소효소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87,188]. 

부티레이트의 효과도 용량 의존적입니다. 

낮은 농도(0.5-1mM)에서 부티레이트는 비암성 결장세포 증식을 촉진하지만 암성 결장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촉진합니다[184]. 

고농도(2mM 이상)에서 부티레이트는 비암성 결장세포와 암성 결장세포 세포자멸사를 모두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부티레이트 매개 신호 전달 억제는 암세포 증식을 감소시키고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킵니다. 

부티레이트는 호중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고 다양한 조직에서 모집, 매개체 기능 및 생존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 PD-L1/항 PD1 암 면역 요법에서 미생물군의 역할을 중재할 수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총이 항-PD-L1/항-PD1 요법에 대한 치료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덜 풍부하고 다양한 장내 세균 프로필을 발현하는 마우스는 면역 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반응이 좋은 환자의 미생물군유전체를 이식한 후 반응이 향상되었지만 반응이 좋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19].
PI3K/Akt, Stat3, NF-κB 및 HIF-1과 같은 신호 전달 경로는 PD-L1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70], 부티레이트는 이러한 신호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PD-L1 발현이 감소하고 항암 면역 반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Butyrate는 염증 및 발암 감소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순환에서 짧은 반감기와 생체 이용률이 매우 낮아서 임상적 영향이 방해됩니다.  . 

고체 지질 나노입자의 사용은 HL-60에 대한 butyrate의 항암 효과를 증가시켰지만 MCF-7 암세포에는 그렇지 않았다[190]. 

Nano-delivery는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암 부위의 항암제의 농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Butyrate는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와 함께 암세포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196]. 이것은 두 약제가 사용하는 용량을 줄였습니다. 

암 예방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온 EGCG는 녹차에서 추출한 식물 화학 물질입니다[197]. 

식물 화학 물질은 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어 암 위험을 20%까지 감소시킵니다[198]. 

부티레이트는 HL-60 세포에서 ABT737과의 조합 적용에 대해 테스트되었으며 부티레이트가 고농도(2-5mM)에서 사용될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납니다. 

부티레이트는 백혈병 암세포에 대한 연구에서 아르테미시닌과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부티레이트 유사체의 구조-활성 관계가 연구되었습니다[204]. 

수많은 부티레이트 유도체 중에서 4-페닐부티레이트와 트리부티린이 가장 효과적입니다[205,206]. 

 

장내 미생물총의 조절은 장에서 부티레이트 생산을 증가시키는 매력적인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의 장점은 장내 미생물총이 지속적으로 부티레이트 수준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정 장내 세균은 부티레이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두 가지 가장 중요한 박테리아 종은 Faecalibacterium prausnitzii(클로스트리듐 군집 IV)와 Eubacterium rectale(클로스트리듐 군집 XIVa)이며, 이는 각각 총 대변 장내 미생물총의 14%와 13%를 차지합니다[207]. 

장내 미생물총에 의한 부티레이트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양한 박테리아가 사용하는 다양한 파이토케미컬은 선택적인 것입니다[97]. 

부티레이트 생성 박테리아를 촉진하는 파이토케미컬에는 저항성 전분과 올리고당이 포함됩니다[210]. 

따라서 이러한 파이토케미컬은 부티레이트 생산을 증가시키는 식품 보조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결론

Butyrate는 in vitro 암 세포 배양 시스템과 in vivo 동물 모델 실험 모두에서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 메커니즘은 T-reg 세포 성숙을 통한 항염 작용뿐만 아니라 많은 신호 경로를 포함합니다. 

부티레이트는 HDAC를 억제하여 다운스트림 신호 전달 경로인 VEGF 및 STAT3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부티레이트는 또한 미토콘드리아 및 외부 세포 사멸 경로 모두에 작용하여 암세포 사멸을 유발합니다. 

항염증을 통해 부티레이트는 IL-6을 억제하고 IL-17은 STAT3 및 NF-κB 신호 전달 경로에 영향을 미칩니다. 

부티레이트는 또한 miR과 메틸화를 조절하여 신호 분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티레이트는 HDAC 억제 및 HDAC 독립적 기전으로 다중 신호 경로를 조절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부티레이트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 모두에서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입증되었지만 낮은 생체이용률 및 짧은 기간으로 인해 의학적 적용이 널리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순환에서 관찰된 반감기. 나노 전달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부티레이트의 생체 이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나노 전달은 다른 항암제 및 파이토케미칼과 부티레이트의 조합 사용을 상당히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

https://blog.daum.net/health-life/219

 

부티레이트

=히스톤 데 아세틸라제 (HDAC)에 대한 억제로 JAK2 /STAT3, VEGF와 같은 발암 신호 전달 경로를 변경.

=미토콘드리아 아폽토시스 경로와 외부 아폽토시스 경로를 모두 방해할 수 있다.

=NF-κB 및 STAT3 경로의 활동을 감소시켜 T- 조절 세포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장 염증을 감소시킨다.

=PKC 및 Wnt 경로를 통해 암세포 분화를 증가시킵니다.

=microRNA와 메틸화를 통해 발암 신호 분자를 조절.

=부티레이트의 낮은 생체 이용률은 단점.

 

https://blog.daum.net/health-life/220?category=2200736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2911985_Effects_of_Intestinal_Microbial-Elaborated_Butyrate_on_Oncogenic_Signaling_Pathways

 

Butyrate의 항암 효과에 대한 기전은 anti-HDAC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Butyrate가 세포질에서 대사되는 결장세포와 달리 암세포에서 butyrate는 Warburg 효과로 인해 대사되지 않아 축적되어 핵 공간으로 들어가 히스톤 탈아세틸화를 억제합니다[26].
소듐 부티레이트로 세포를 처리하면 탈아세틸화효소를 억제하여 히스톤 아세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45].
Butyrate는 정상 결장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과 대조적으로 암세포 증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6].
이 후성유전학적 변형은 히스톤의 과아세틸화를 일으켜 세포 생존과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수많은 효소를 조절합니다.

---------------------------------------------------------------------------------------------------------

https://www.nature.com/articles/6601510

 

Both sodium butyrate and tributyrin had a considerable treatment effect on microtumours on the chicken egg at already very low concentrations of 0.1 mM. 

 

0.5 mM의 최종 농도에서 시작하여 최대 5.0 mM의 세포주 PC3, TSU-Pr1 및 LNCaP에 부티르산나트륨 및 트리부티린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적용했습니다. XTT 분석을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기 전에 세포를 72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나트륨 부티레이트에 대한 적정 곡선은 PC3 세포에 대한 그림 1에 나와 있으며, 약 2.5mM 최종 농도에서 50% 성장 억제를 보여줍니다. TSU-Pr1 세포는 약간 적었고 LNCaP 세포주는 처리에 약간 더 민감했습니다. 0.5 mM 용량의 부티르산나트륨은 모의 처리된 세포와 비교하여 세 가지 세포주 모두에서 이미 상당한 성장 억제를 유도했습니다.

------------------------------------------------------------------------------------------------------------

https://academic.oup.com/jn/article/131/6/1839/4686813?login=true

 

트리부티린은 세포 계수를 사용하여 증식을 평가할 때 Caco-2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데 부티레이트보다 더 강력했습니다.

96시간의 처리 후 및 최대 5mmol/L의 butyrate 또는 tributyrin의 농도 범위 내에서 50% 억제 농도 값은 tributyrin의 경우 0.85 ± 0.9mmol/L, butyrate의 경우 2.2 ± 0.5mmol/L이었습니다(그림 1). ).

트리부티린은 또한 (OH)2D3 단독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부티레이트보다 더 강력한 성장 억제제였습니다. 즉, 처리 48-120시간 후 트리부티린(1mmol/L)은 (OH)2D3 단독(1μmol/L)의 경우 8~15%,

부티레이트(2mmol/L)의 경우 11~23%.

트리부티린(1mmol/L)과 1μmol/L(OH)2D3의 조합은 Caco-2 세포 성장을 더욱 감소시켰습니다

 

효능의 순서는 (OH)2D3 < 부티레이트 < 트리부티린 < [트리부티린 + (OH)2D3)]이었습니다(표 1).

부티레이트와 비교하여, 트리부티린과 [트리부티린 + (OH)2D3)] 모두 Caco-2 세포 분화의 훨씬 더 강력한 유도인자였습니다.

 

Tributyrin markedly increased binding of (OH)2D3 in Caco-2 cells.

 

https://tahomaclinic.com/Private/Articles4/Tributyrin/Edelman%202003%20-%20Clinical%20and%20pharmacologic%20study%20of%20tributyrin.pdf

부티레이트는 50-100 lM 이상의 수준에서 다양한 시험관 내 모델에서 말단 분화 및 세포자멸사를 생성할 수 있는 작은 극성 화합물입니다.

 

단위 uM

**************

'약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cetyl-L-Carnitine  (0) 2021.08.02
Artemisinin과 Sodium Butyrate의 시너지적 암세포독성  (0) 2021.07.28
HDAC and HDAC Inhibitor-VALPROIC ACID  (0) 2021.07.18
? 스타틴  (0) 2021.07.17
? Vitamin D3  (0) 2021.07.17